1. Short, Open circuit
단락회로(Short circuit) : 저항값이 영(0)인 저항으로 옴의 법칙에 의하여 흐르는 전류가 어떤 값이든 양단의 전압은 0이된다.
개방회로(Open circuit) : 저항값이 무한대인 저항으로 옴의 법칙에 의하여 양단의 전압이 어떤 값이든 흐르는 전류는 0이된다.
2. 선형회로(독립 전원, 선형 종속전원, 선형 소자) => 중첩 원리
중첩정리
1. 독립전원 중 하나를 선택하고 나머지 다른 독립전원은 모두 0으로 높는다.
2. 간략화 된 회로를 해석하여 필요한 전압 및 또는 전류를 구한다.
3. 중복없이 1,2단계를 반복한다.
4. 개별해석으로부터 구해진 전압과 전류를 더한다.
다른 독립전원들을 모두 단락 시키거나 개방 시킨 상태의 개별 전원에 의한 전압 또는 전류를 모두 대수적인 합으로 구할 수 있다.
3. 실질적인 전원 변환
부하 단자에서만 등가이고 전원 내부적으로는 등가가 아님.
4. 테브난 등가회로 노턴 등가회로
테브난의 정리 (Thévenin’s Theorem)
1. 주어진 임의의 선형 회로에서, 두개의 도선으로 연결된 두개의 회로망 A, B의 형태로 재정돈 한다.
2. 회로망 B를 분리한다. 이 때 남겨진 회로망 A의 부하 단자의 전압을 Voc로 정의한다. => Voc
3. 회로망 A의 모든 독립전원을 0으로 제거 시킨다. 종속 전원은 그대로 나둔다. => R_TH
4. 이 비활성 회로망에 Voc의 값을 갖는 독립 전압원을 직렬로 연결한다. cf) 종속 전원 => 시험 전류, 시험 전압
5. 새로운 회로망 A와 아까 분리된 회로망 B를 연결한다.
노턴의 정리
1. 주어진 임의의 선형 회로에서, 두개의 도선으로 연결된 두개의 회로망 A, B의 형태로 재정돈 한다.
2. 회로망 B를 분리하고 회로 A의 단자는 단락시킨다. 이 때 회로망 A의 단락된 단자에 흐르는 전류를 Isc로 정의한다. =>Isc
3. 회로망 A(개방)의 모든 독립전원을 0으로 제거 시킨다. 종속 전원은 그대로 나둔다. => R_TH
4. 이 비활성 회로망에 Isc의 값을 갖는 독립 전류원을 병렬로 연결한다.
5. 새로운 회로망 A와 아까 분리된 회로망 B를 연결한다.
테브난 저항 R_TH, 노턴 전류원 i_sc의 관계
5. 최대 전력 전달 정리
6. △결선 저항과 Y결선 저항 사이의 변환
'회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커패시터와 인덕터 (0) | 2014.02.21 |
---|---|
6. 연산증폭기 (0) | 2014.02.21 |
4. 기본적인 마디 해석법 및 메쉬 해석법 (0) | 2014.02.21 |
3. 전압법칙과 전류법칙 (0) | 2014.02.21 |
2. 기본 회로소자와 전기회로 (0) | 2014.02.21 |